





- 국내증시 테마 시황 -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등, 올해 국내 반도체 산업 투자 확대 기대감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상 첫 9만명대 돌파 등에 코로나19(진단키트),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재택근무/스마트워크, U-Healthcare(원격진료)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상승.
▷뉴욕증권거래소, NFT 거래소 설립 추진 소식 등에 NFT 테마 상승.
▷국내 대형 게임사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본격화 기대감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정부, 원자력발전 의존도 증가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글로벌 리오프닝 기대감 지속 및 우크라이나 긴장 완화 등에 여행, 항공, 카지노, 면세점, 화장품 등 테마 상승.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강세 등에 전기차, 2차전지 테마 상승.
▷美 수소 관련주 급등 및 수소 관련 ETF 상장 소식 등에 수소차 테마 상승.
▷제대혈 줄기세포 이용 HIV 완치 소식 등에 제대혈, 줄기세포 테마 상승.
▷리오프닝 기대감 속 BTS 3월 서울 오프라인 공연 개최 소식 등에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두나무, 빗썸코리아 유니콘기업 등극 및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반등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K-UAM '에어택시' 상용화 본격 추진 소식에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1월 에스테틱 및 치과 의료기기 수출 성장세 지속 등에 의료기기,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이 외 국내 증시 급반등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야놀자 관련주, 토스 관련주, 영상콘텐츠, 보톡스, 터치패널, 드론, 광고, 크래프톤 관련주, DMZ 평화공원, 탈모 치료 관련주, 통신장비, 마스크, 일자리(취업),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창투사, 캐릭터상품, 스마트그리드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러시아-우크라이나 긴장 완화 속 국제유가 급락 등에 도시가스, LPG 테마 하락.
- 반도체 관련주 -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등 등에 상승.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D-데이'로 지목한 16일을 하루 앞두고, 러시아 국방부가 일부 군대의 철수를 발표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다소 완화되는 모습.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가 급등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폭등 마감했음.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84.25(+5.47%) 상승한 3,554.45를 기록. 엔비디아(+9.18%), AMD(+6.30%), AMAT(+6.05%), 마이크론테크놀로지(+6.83%), 퀄컴(+4.77%), ASML(+4.54%) 등이 큰 폭으로 상승.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투자 활성화 간담회’를 개최했음. 이번 행사에서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150여 개 회원사의 투자계획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국내에 56조7,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 이는 지난해 투자 실적인 51조6,000억원과 비교해 10% 증가한 규모임.
▷한편, 전일(현지시간)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산업 매출은 전년대비 26.2% 증가한 5,559억달러(665조4,000억원)를 기록. 같은 기간 출하량은 1조1,500억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음. 이어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앞으로 몇 년 간 반도체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피에스케이, 하나마이크론, SFA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SK하이닉스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PIM 개발 성공 소식 등도 호재로 작용.
- 코로나19 관련주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상 첫 9만명대 돌파 등에 상승.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9만443명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 이는 전일(5만7,177명)보다 3만3,266명 늘었고 지난주 같은 요일(4만9,550명)보다도 4만893명 더 많은 수준이며, 누적확진자는 총 155만2,851명(해외유입 2만7,659명)임. 위중증 환자는 313명으로 이틀째 300명대를 기록했고, 사망자는 39명을 기록.
▷아울러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확고한 우세종으로 자리 잡으며, 신규 확진자 규모는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방대본은 이번달 말에 하루 확진자가 최대 17만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녹십자엠에스, 수젠텍, 바이오니아 등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원방테크, 에스와이 등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소프트캠프, 알서포트 등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라이프시맨틱스, 인성정보, 유비케어 등 U-Healthcare(원격진료) 등 코로나19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기록.
- NFT(대체불가토큰) -
뉴욕증권거래소, NFT 거래소 설립 추진 소식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美 뉴욕증권거래소(NYSE)가 NFT(대체불가토큰)를 주식처럼 사고팔수 있는 거래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NYSE가 지난 10일 美 특허청(USPTO)에 제출한 서류에서 오픈시(OpenSea), 라리블(Rarible) 등 기존 NFT 거래소와 경쟁하는 가상화폐·NFT 거래소가 되길 원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한편, 이와 관련해 NYSE는 NFT 거래나 가상화폐 도입을 즉각 시작할 계획은 없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갤럭시아머니트리, 갤럭시아에스엠, 컴투스홀딩스, 위메이드, 한컴MDS 등 NFT(대체불가토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
국내 대형 게임사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위메이드, 넷마블, 컴투스홀딩스, 카카오게임즈 등이 연내로 10개 이상의 P2E 및 NFT 게임들을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에 온보딩하고 플랫폼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 이에 대형 게임사 4곳에서 타업체들의 블록체인 게임을 자체 플랫폼에 온보딩하기 위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밝힘.
▷위메이드는 금일 미디어 간담회를 개최하고 전사 차원에서 전개하고 있는 위믹스 관련 사업과 신작 등에 대한 현황과 정보들을 공유했음. 장현국 대표는 블록체인 게임의 대두로 게임산업의 '패러다임 시프트'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실적발표 후 일주일 뒤 기자간담회 개최를 정례화하며 적극 소통하겠다고 덧붙였음.
▷이에 금일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펄어비스, 컴투스홀딩스, 카카오게임즈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원자력발전 -
정부, 원자력발전 의존도 증가 소식 등에 상승.
▷한국전력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원자력발전량은 15만8,015GWh로 집계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이번 정부가 출범한 2017년(14만8,427GWh)과 비교해 6.5% 증가한 수치임. 아울러 원자력발전량뿐 아니라 한국 총발전량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도 오히려 커진 것으로 알려짐. 전체 발전량에서 원전 비중은 2017년 26.8%에서 2018년 23.4%로 줄어들었다가 2019년 25.9%, 2020년 29.0%로 빠르게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27.4%로 전년보다 줄었지만, 2017년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음.
▷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석탄발전을 줄여가는 과정에서 그 빈자리를 가스(LNG)발전으로 채워오다가 2020년부터 가스 가격이 크게 오르자 원전 이용률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하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에너토크, 한신기계, 서전기전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리오프닝 관련주 -
글로벌 리오프닝 기대감 지속 및 우크라이나 긴장 완화 등에 상승.
▷최근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주요국들이 잇따라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해제하고 있는 가운데, 동남아 국가들의 입국 간소화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국내에서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연일 폭증하고 있지만, 사회,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음. 이날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번주 발표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여부와 관련해 "오미크론의 파고를 낮추어 경제·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목표를 중심에 두고 판단할 것이라고 언급. 이에 글로벌 리오프닝 기대감이 지속되는 모습.
▷아울러 전일 러시아 국방부는 훈련을 위해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배치했던 군 부대 일부가 복귀를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도 완화되는 모습을 보임.
▷이 같은 소식 속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인터파크, 하나투어,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연우 등 여행/항공/저가 항공사(LCC)/화장품/면세점/백화점/카지노 등 리오프닝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반면, 그동안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 속 상승세를 보였던 도시가스/LPG 테마는 하락세를 기록.
- 전기차/2차전지 -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강세 등에 상승.
▷현지시간 15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배치한 병력 일부를 철수한다고 밝히면서 뉴욕증시가 급반등한 가운데,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들의 주가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테슬라 주가는 전거래일대비 5.05% 급등한 920달러로 마감해 900달러 선을 회복했으며, 리비안과 루시드 그룹 주가도 전거래일대비 5% 넘게 상승.
▷이 같은 소식에 씨아이에스, 켐트로스, 코스모화학, 나라엠앤디, 에이프로 등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특히, 에이프로는 Ultium Cells LLC와 196.8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0.18%) 규모 2차전지 활성화장비 공급계약 체결 소식도 호재로 작용하며 상한가를 기록.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
美 수소 관련주 급등 및 수소 관련 ETF 상장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수소트럭 제조사인 니콜라(+5.99%)를 비롯해 퓨얼셀 에너지(+18.83%), 발라드 파워 시스템즈(+10.67%) 등 수소 관련주가 급등세를 기록한 가운데,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글로벌 수소경제에 투자하는 ETF를 잇달아 출시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되고 있음. KB자산운용은 15일 ‘KBSTAR글로벌수소경제Indxx’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으며, 같은 날 한화자산운용은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를 상장했음.
▷아울러 코트라가 최근 공개한 '세계 주요국의 수소경제 동향 분석'에 따르면, 세계 수소 생산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1,296억 달러에서 연평균 9.2% 성장해 2025년 약 2,014억 달러에 이를 것이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높은 성장률(연평균 10.0%)을 기록하며 2025년 935억 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역대급 기상이변이 속출했던 가운데, 온난화를 막기 위한 글로벌 협력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올해 수소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풍력/태양광 등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은 지속가능한 에너지원(Sustainable)임에는 틀림없지만 안정되고 균등한 에너지원(Stable)으로 보기에는 이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이 ESS인데, ESS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해주는 개념으로 P2G가 크게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설명. P2G(Power to Gas)는 에너지를 전기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아닌 가스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말하며 수소나 메탄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언급. 이어 P2G의 강력한 장점은 에너지원의 저장 용량 및 저장 기간에서 압도적인 우위에 있다는 점이라고 덧붙임.
▷이 같은 소식 속 두산퓨얼셀, 상아프론테크, 일진다이아, 일진하이솔루스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제대혈/줄기세포 -
제대혈 줄기세포 이용 HIV 완치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전일(현지시간) 미국 의료진이 에이즈(AIDS)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백혈병 환자에게 제대혈(탯줄혈액) 줄기세포를 이식해 백혈병과 HIV를 치료하는데 성공했다고 전해짐. 미국에서 줄기세포 이식으로 HIV를 치료한 역대 세 번째고 여성 환자로는 처음이며, HIV 치료에 제대혈을 사용한 것도 이번이 최초라고 알려짐. 이 환자는 줄기세포를 이식받고 37개월 후부터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중단했으며, 이후 14개월 이상 혈액에서 HIV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녹십자, 지씨셀, 메디포스트 등 제대혈, 줄기세포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엔터테인먼트/음원/음반 -
BTS 3월 서울 오프라인 공연 개최 소식 속 상승.
▷빅히트뮤직은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를 통해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 서울(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 SEOUL)이 오프라인 공연과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개최된다고 밝힘. 공연은 3월10일, 12일, 13일에 개최되며, 10일과 13일에는 오프라인 공연과 함께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짐. 12일 공연은 영화관에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라이브 뷰잉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하이브, 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 YG PLUS 등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 관련주 -
두나무, 빗썸코리아 유니콘기업 등극 및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반등 속 상승.
▷중소벤처기업부는 전일 언론을 통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유니콘 기업 수가 역대 최대인 18개사로 지난해보다 7개사 증가했다고 밝힘. 유니콘기업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기업으로, 추가된 기업은 직방(부동산중개), 컬리(마켓컬리), 버킷플레이스(인테리어커머스), 당근마켓(중고거래 플랫폼), 리디(콘텐츠플랫폼) 등이며, 특히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와 '빗썸' 운영사인 두나무와 빗썸코리아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러시아 국방부가 훈련을 위해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배치했던 군 부대 일부가 복귀를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된 가운데, 밤사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이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한편, 업비트에 따르면, 금일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5,335만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우리기술투자, 위지트, 비덴트 등 두나무 관련주/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특히, 우리기술투자는 지난해 호실적 발표 등도 호재로 작용.
- UAM(도심항공모빌리티) -
K-UAM '에어택시' 상용화 본격 추진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대규모 실증 사업인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 챌린지'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17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전세계 도심항공교통(UAM) 사업화를 준비하는 기관이 참여하는 'UAM 그랜드 챌린지 코리아' 참여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힘.
▷설명회에서는 그랜드챌린지 추진계획과 참여방법, 정책로드맵 등과의 연계성 등이 소개될 예정. 이번 참여 설명회를 시작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기관은 국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실증범위나 방식 등을 논의하게되며,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실증사업에 착수하게 될 예정. 또한, 그랜드챌린지 2단계(준도심·도심)와 연구개발 통합실증(도심환경)에 필요한 테스트베드 선정에도 착수한다는 방침임.
▷이에 금일 기산텔레콤, 베셀, 네온테크, 퍼스텍 등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의료기기/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
1월 에스테틱 및 치과 의료기기 수출 성장세 지속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월 에스테틱 의료기기(HS CODE: 9018.90) 수출액이 5,730만달러(+28.5% y-y, -28.3% m-m)를 기록했다며, 전월 월간 최고 실적 달성 후 계절적 비수기 진입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한 점이 긍정적이라고 설명. 핵심 수출 국가인 미국向 수출액은 1,201만달러(+100.6% y-y, -23.1% m-m)를 기록했고 프랑스向 수출액은 427.9만달러 (132.5% y-y, +38.8% m-m)으로 전반적인 성장세 이끌었다고 밝힘.
▷이어 1월 임플란트(HS CODE: 9021.29.0000) 수출액은 4,017만달러(+23.7% y- y, -35.8% m-m)를 기록했다고 설명. 한국거래소의 오스템임플란트 상장폐지 심사 대상 지정 등 시장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업계 전반 꾸준한 수출 성장세를 지속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로닉, 클래시스, 지티지웰니스, 나노엔텍 등 의료기기 테마 및 나이벡, 오스코텍, 디오, 덴티움 등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도 상승세를 기록. 특히, 클래시스는 신제품 출시 및 해외 진출 기대감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 도시가스/LPG(액화석유가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긴장 완화 등에 따른 국제유가 급락 영향에 하락.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긴장 완화 등에 급락.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3.39달러(-3.55%) 급락한 92.07달러에 거래 마감.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일이라고 지목한 16일(현지시간)을 하루 앞둔 가운데, 러시아 국방부는 훈련을 위해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배치했던 군 부대 일부가 복귀를 시작했다고 밝힘. 병력 규모나 지역 등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간 긴장이 일부 완화되는 모습. 다만, 장 마감 직전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국민 연설을 통해 러시아의 일부 군부대 복귀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이 여전하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S-Oil 등 도시가스/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