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증시 테마 시황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상 첫 10만명 돌파 등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재택근무/스마트워크, U-Healthcare(원격진료)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상승.
▷정부, 거리두기 일부 완화 소식 속 화장품, 여행, 면세점 등 리오프닝 관련 테마 상승.
▷하이트진로 소주 제품 출고가 인상 소식 등에 주류업 테마 상승.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우려 지속 속 탄소배출권 부각 등에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 상승.
▷한미 핵안보 실무그룹 화상 회의 개최 속 주요 대선 후보 탈원전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해운 운임 증가세 지속 및 주요 해운 업체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등에 해운 테마 상승.
▷윤석열 대선 후보 지지율 상승 및 유승민 전 의원 지원 유세 동참 소식에 정치/인맥(윤석열) 테마 상승.
▷이 외 전선, 4대강 복원, 재난/안전(지진 등), 전력설비, 페인트, 핵융합에너지, 그래핀, DMZ 평화공원, 요소수 관련주, 해저터널, 남-북-러 가스관사업, 리모델링/인테리어, 풍력에너지, 화학섬유, 철강 중소형, 제대혈, 시멘트/레미콘, 일자리(취업), PCB(FPCB 등)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이란 핵 합의 타결 가능성 속 국제유가 급락 등에 정유, LPG 테마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속 일부 반도체 대표주(생산) 테마 하락.
▷이 외 카지노, 통신, 인터넷 대표주, 자동차 대표주, 은행, 손해보험, CCTV & DVR, IT 대표주, 2차전지(생산) 등 일부 테마가 하락.
- 코로나19 관련주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상 첫 10만명대 돌파 등에 상승.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만9,831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10만명을 돌파했음. 이는 전일보다 1만6,000명 넘게 급증한 수치로, 국내 발생이 10만9,715명, 해외 유입이 116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385명으로 닷새째 300명대를 이어갔으며, 사망자는 45명을 기록. 무증상·경증 확진자가 크게 늘면서 재택치료자 수도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환자 수는 35만1,695명으로 전일대비 3만7,130명 증가.
▷방역 당국은 이달 말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13만∼17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정점 시기가 늦춰지고 일일 신규 확진자는 더 많아져 다음달 중순이면 최대 27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정부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오는 19일부터 3주 동안 식당·카페 등의 영업시간 제한을 기존 오후 9시에서 오후 10시로 한 시간 연장한다고 밝힘. 다만, 사적모임은 현행 최대 6인을 유지했음.
▷이 같은 소식에 바이오스마트, EDGC, 나노엔텍, 녹십자, 오파스넷, 소프트캠프, 이지케어텍 등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재택근무/스마트워크, U-Healthcare(원격진료)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리오프닝 관련주 -
정부, 거리두기 일부 완화 소식에 상승.
▷코로나19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금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회의를 개최하고 오는 19일부터 식당·카페 등의 영업시간 제한을 오후 9시에서 10시까지로 1시간 완화하고, 사적모임 인원 제한은 현행 '최대 6인'으로 유지한다고 밝힘. 이번 거리두기 조정방안은 19일부터 다음달 13일까지 약 3주간 적용될 예정. 이와 관련, 김부겸 국무총리는 "민생경제의 어려움을 고려해 개편된 방역·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최소한의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며, "하루라도 먼저 민생의 숨통을 틔워 드리고, 유행 상황을 충분히 관찰하는 시간을 갖기 위한 것"이라고 밝힘.
▷한편,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10만9,831명으로 첫 10만명을 돌파하며 사상 최다를 기록. 이는 전날보다 1만6,000명 넘게 급증한 수치로 감염 경로는 국내 발생이 10만9715명, 해외 유입이 116명임.
▷이 같은 소식 속 애경산업, 토니모리, 잇츠한불, 노랑풍선, 인터파크 등 리오프닝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
하이트진로 소주 제품 출고가 인상 소식 등에 상승.
▷지난 4일 대한주정판매의 주정가격 평균 7.8% 인상 및 맥주 주세 인상 예정 속 주류업체들의 가격 인상 압력이 확대된 가운데, 언론에 따르면 하이트진로가 2월23일 참이슬, 진로 등 소주 제품 출고가를 평균 7.9% 인상할 것으로 알려짐. 시장에서는 하이트진로가 소주 업계 1위인 점을 고려할 때, 기타 소주 업체들의 동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러한 소식에 무학, 풍국주정, 제주맥주, 국순당 등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한편, 코로나19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금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회의를 개최하고 오는 19일부터 식당·카페 등의 영업시간 제한을 오후 9시에서 10시까지로 1시간 완화하고, 사적모임 인원 제한은 현행 '최대 6인'으로 유지한다고 밝힘.
- 온실가스(탄소배출권) -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우려 지속 속 탄소배출권 부각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제유가가 강세 흐름을 보이면서 탄소배출권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유럽의 탄소배출권 가격(ICE EUA Futures 2022년 12월물)은 최근 3개월 사이 약 30% 상승했으며, 탄소배출권 가격을 지수화한 ‘S&P GSCI Carbon Emission Allowances(EUA)’ 역시 연초 이후 12% 가량 상승한 것으로 전해짐.
▷시장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강화로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온 가운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를 놓고 유가가 들썩이면서 탄소배출권은 상승 동력을 추가로 얻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유니드, 켐트로스, 이건산업, 에코프로에이치엔 등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정치/인맥(윤석열) -
윤석열 대선 후보 지지율 상승 및 유승민 전 의원 지원 유세 동참 소식에 상승.
▷전일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4∼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표본오차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4자 가상대결에서 윤석열 후보가 40%, 이재명 후보가 31%를 기록했음. 두 후보의 격차는 9%포인트로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이며, 지난달 7~9일 진행한 직전 조사에서는 동률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윤석열 후보는 5%포인트 상승했고, 이재명 후보는 4%포인트 하락했음.
▷아울러 전일 언론에 따르면,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이 윤석열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유 전 의원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아무 조건도, 직책도 없이 열심히 돕겠다고 했다"며 "저는 승복 연설에서 말씀 드린 생각 그대로 정권교체를 위해 백의종군하며 협력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승일, 희림, 덕성, NE능률, 신원종합개발 등 정치/인맥(윤석열)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정유/LPG(액화석유가스) -
이란 핵 합의 타결 가능성 속 국제유가 급락 등에 하락.
▷밤사이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이란 핵 합의 타결 가능성 등에 2% 넘게 급락.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90달러(-2.03%) 급락한 91.76달러에 거래 마감.
▷언론에 따르면, 지난 16일(현지시간) 알리 바게리카니 이란 외무부 차관은 핵 합의와 관련해 "수주 간 강도 높은 협상을 진행한 끝에 현재 타결에 가장 근접한 상황"이라며, "중대한 결정을 내릴 시간"이라고 언급했으며, 17일(현지시간) 美 국무부 대변인은 "이란 핵합의의 완전한 이행으로의 상호적 복귀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고 밝힘. 시장에서는 이란 핵 합의가 복원될 경우 이란에 대한 미국의 원유 수출 제재가 해제돼 원유 시장의 이란산 원유 공급이 늘어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외신에 따르면, 美 블링컨 국무장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없다면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다음주 주말 회담을 수락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등 정유/LPG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