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증시 분석

4분기 실적 호조주, 오늘 증권사 목표가 매수 리포트 종목, 증권사 실적 추천주 등 1.27일 꼭 알아야 할 종목과 이슈 해석

반응형




- 코스피시장 -

일동제약(249420) :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긴급사용 승인 기대감 등에 강세.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4월 말께 받아 충북 청주공장에서 생산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짐. 최성구 일동제약 연구개발본부장은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S-217622'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최근 2b·3상 참여자 모집에 들어갔다"며, "2b·3상을 3월 중순까지 끝낼 계획이고, 데이터 분석 기간 등을 감안할 때 정부가 4월 중순에는 긴급승인을 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현대글로비스(086280) : 지난해 호실적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및 4분기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21.77조원(전년대비 +31.83%), 영업이익 1.12조원(전년대비 +70.08%), 순이익 7,831.75억원(전년대비 +29.20%).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84조원(전년동기대비 +19.77%), 영업이익 3,251.02억원(전년동기대비 +85.55%), 순이익 2,561.97억원(전년동기대비 +52.21%). 또한 보통주 1주당 3,800원(시가배당율 2.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8.9%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해운사업부의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64.8% 증가하며 사업부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어 반도체 수급 이슈 정상화와 스마트물류 솔루션으로 물류 및 해운사업부의 추가 성장도 가능할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00,000원 -> 210,000원[상향]

참엔지니어링(009310) : 133.85억원 규모 FPD장비 공급 계약 체결에 상승.
▷Guang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와 133.8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94%) 규모 공급계약(FPD장비공급) 체결(계약기간:2022-01-26~2022-05-07) 공시.

세아제강(306200) : 지난해 실적 호조 및 유정용 강관 美 반덤핑율 0% 재산정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1.49조원(전년대비 +30.15%), 영업이익 1,319.45억원(전년대비 +146.33%), 순이익 996.87억원(전년대비 +201.53%). 보통주 1주당 3,500원(시가배당율 3.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아울러 전일 한국무역협회 워싱턴 지부는 "미국 상무부가 2017~18년 한국산 유정용 강관(Certain Oil Country Tubular Goods)에 대한 반덤핑 연례 재심 재산정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美 상무부는 "2017~18년 반덤핑 최종 판정에서의 특별시장상황(PMS) 적용을 철회한다"면서 동사에 대해 3.96%였던 반덤핑율을 0.00%로 재산정했다고 설명.

기아(000270) : 올해 공격적 가이던스 및 높은 배당 제시 등에 소폭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생산 차질로 인한 판매 물량 감소와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당사 추정 및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고 밝힘. 다만, 올해 공격적 가이던스와 높은 배당을 제시한 것에 대해 지난 2년의 호실적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는 자신감이며, 믹스 개선의 지속과 전동화 계획 상향 등 구조적인 선순환을 기대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0,000원[유지]
▷동사는 전일 2022년 사업계획(매출액 목표 : 83.1조원, 영업이익 목표 : 6.5조원, 영업이익률 목표 : 7.8%) 발표 및 보통주 1주당 3,000원(시가배당율3.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아울러 전일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69.86조원(전년대비 +18.07%), 영업이익 5.06조원(전년대비 +145.13%), 순이익 4.76조원(전년대비 +220.00%).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7.18조원(전년동기대비 +1.64%), 영업이익 1.17조원(전년동기대비 -8.30%), 순이익 1.24조원(전년동기대비 +29.74%).

GS건설(006360) : 지난해 실적 부진 등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9.03조원(전년대비 -10.73%), 영업이익 6,461.76억원(전년대비 -13.88%), 순이익 4,246.34억원(전년대비 +28.80%).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61조원(전년동기대비 -7.03%), 영업이익 1,923.66억원(전년동기대비 -6.10%), 순이익 714.07억원(전년동기대비 +601.23%).
▷이와 관련,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분양 지연 및 플랜트 매출 감소 등으로 지난해 실적이 부진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7,000원[유지]
▷한편, 2022년 사업연도 연결기준 매출액 9.50조원 전망. 안양 상록지구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과 3,769.0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2%) 규모 공급계약(안양 상록지구 주택재개발사업) 체결 공시.

더존비즈온(012510) :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47.85억원(전년동기대비 -4.83%), 영업이익 160.39억원(전년동기대비 -40.00%), 순이익 129.60억원(전년동기대비 -46.39%).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2021년은 Amaranth 10 신제품 출시와 위하고(WEHAGO)를 주축으로 한 클라우드 사업의 시장 확대로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시장 기대에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실적을 기록했다"며, "신사업 강화와 글로벌 진출 전략 구체화를 통해 실적 반등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

삼성에스디에스(018260) : 지난해 영업이익 감소 등에 하락.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93조원(전년동기대비 +29.2%), 영업이익 1,442.52억원(전년동기대비 -49.2%), 순이익 1,107.67억원(전년동기대비 -37.2%).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3.63조원(전년대비 +23.7%), 영업이익 8,080.97억원(전년대비 -7.3%), 순이익 6,333.81억원(전년대비 +39.8%). 보통주 1주당 2,400원(시가배당율1.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시장에서는 동사가 연간 최대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이 낮은 물류 부분 매출 비중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셀트리온 그룹주 :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 오미크론 변이 효과 없다는 연구 결과에 하락.
▷전일 언론에 따르면, 셀트리온이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으로 전해짐. 지난 19일 게시된 과학저널 네이처지의 자매 의학 학술지인 ‘네이처 메디슨’에 따르면 리네제론의 리젠코브, 릴리의 밤바리비맙·에테세비맙, 셀트리온의 렉키로나(CT-P59)는 오미크론에 대한 중화효과를 완전히 상실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약물 농도를 최대치인 1만ng/mL로 올려 실험한 결과에서도 렉키로나는 억제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이와 관련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등 셀트리온 그룹주가 하락세를 기록.
[종목] :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SBS(034120) :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분석 등에 약세.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은 2,912억원(YoY +11.6%), 영업이익 33억원(YoY -91.3%), 당기순손실 85억원으로 영업이익이 당사 추정치 및 컨센서스(446억원)를 크게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일회성 비용(성과급, 명예퇴직비용 등) 약 430억원이 반영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5.000원[유지]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07조원(전년대비 +25.41%), 영업이익 1,844.44억원(전년대비 +167.10%), 순이익 1,415.49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포스코케미칼(003670) :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예상치 하회 등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및 4분기 실적 발표.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373.48억원(전년동기대비 +19.44%), 영업이익 204.61억원(전년동기대비 -1.88%), 순이익 192.13억원(전년동기대비 +21.47%).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98조원(전년대비 +27.02%), 영업이익 1,216.75억원(전년대비 +101.88%), 순이익 1,337.61억원(전년대비 +349.65%). 아울러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율 0.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예상치를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전기차 생산 차질로 수익성이 높은 음극재 매출액이 2개분기 연속 예상보다 부진했고, 양극재는 매출 성장세는 지속되었지만 전구체 관련 일회성 재고평가손실로 수익성이 예상보다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 -> 150,000원[하향]

LG디스플레이(034220) :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분석 등에 약세.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1 매출액은 8.8조원(+22%QoQ), 영업이익 4,760억원(-10%QoQ)으로 당사 추정치 영업이익 5,160억원, 시장 컨센서스 영업이익 6,385억원을 하회했다고 분석. 4Q21 LCD 패널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3Q21 지연되었던 일부 모바일 고객향 판매가 회복되면서 이익이 전분기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추정했으나, 매출이 +22%QoQ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익률이 개선되지 못했고, 일회성 비용(성과급)까지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은 기대치를 하회했다고 설명.
▷아울러 IT 패널가격 하락세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1Q22 동사의 ASP가 두 자리수 중후반으로 급락할 것이고, 이에 따른 이익률 감소가 예상보다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 이에 밸류에이션 멀티플을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1,000원 -> 26,000원[하향]

SG글로벌(001380)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577.71억원(전년대비 -32.08%), 영업손실 5.70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55.5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LG에너지솔루션(373220) : 신규상장 첫날 급락.
▷금일 코스피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300,000원을 상회한 597,000원에서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락세로 마감함. 동사는 LG그룹 계열의 전지사업 전문 업체로 EV(Electric Vehicle), ESS(에너지 저장 장치), IT기기, 전동공구, LEV(Light Electric Vehicle)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 주요 제품은 EV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소형 Application용 배터리 등으로 구분되며, 특히 EV(전기차)용 배터리 매출 비중이 높음.

효성화학(298000) : 4분기 실적 부진 등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4분기 및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120.25억원(전년동기대비 +28.65%), 영업손실 167.5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322.9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2.45조원(전년대비 +34.98%), 영업이익 1,485.72억원(전년대비 +143.85%), 순이익 704.14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4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237억원을 대폭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국내 PP/DH 영업이익 -12억원(적자전환, -310억원), 베트남 PP/DH 영업이익 -266억원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70,000원 -> 400,000원[하향]

비케이탑스(030790) : 415,972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급락.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정상용(대표이사 및 최대주주) 등 대상 415,972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404원, 상장예정:2022-02-21) 공시.



- 코스닥시장 -

바이오리더스(142760) : 코로나19 다가백신 전임상 결과 화이자 중화능 상회 소식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사가 개발한 코로나19 유니버셜 다가 백신의 전임상 결과 화이자 백산 보다 높은 중화능을 가진 것이 확인됐다고 밝힘. 통상 1,000이상의 중화항체가를 보이면 높은 수준의 백신으로 평가되지만 최근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이자 백신의 경우 중화 항체가는 300~500정도인 것으로 전해짐.
▷동사가 진행한 전임상 시험에서 해당 백신은 5,000이상 형성됐으며, 면역 세포 집합소인 비장 세포를 분리해 다양한 변이 항원으로 자극한 후 T-세포 반응을 관찰한 결과 ‘BLS-A01’ 접종군은 음성 대조군 대비 상당히 유의적인 T-세포 상승이 관찰된 것으로 알려짐.

현대바이오(048410) :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오미크론 효능 첫 입증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이 최근 세포실험을 통해 동사의 코로나19 경구치료제 후보물질인 CP-COV03의 주성분(니클로사마이드)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 및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에 강력한 효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힘. 니클로사마이드가 코로나19 변이에도 효능을 발휘한다는 점을 정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오미크론에 대한 니클로사마이드의 IC50 충족값은 코로나19 렘데시비르 IC50 값인 3.16 µM의 약 7분의 1배에 불과해 오미크론에 대한 효능이 렘데시비르보다 7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실험의 가장 큰 의미는 CP-COV03가 코로나19는 물론 오미크론 등 변이에도 강력한 효능을 발휘한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라며, “CP-COV03가 바이러스지향의 다른 항바이러스제보다 코로나19와 그 변이를 훨씬 안전하고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임이 확인된 셈”이라고 밝힘.

아이텍(119830) : 자회사 네오엔프라, 세계최초 그래핀 방적사 개발 완료 및 상업생산 개시 소식에 급등.
▷동사의 자회사 네오엔프라는 언론을 통해 세계최초로 그래핀 방적사 개발을 완료하고 일신방직과의 협업을 통해 상업생산을 개시했다고 밝힘. 이번에 개발된 그래핀 방적사는 반영구적으로 그래핀 고유의 특성을 발현하며 복합사의 내구성 및 품질과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안티바이러스, 원적외선방사, UV차단, 우수한 흡한속건성 등의 기능을 반영구적으로 구현하는 다양한 제품군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짐.

러셀(217500) : 자회사 러셀로보틱스의 폭발적 성장에 따른 재평가 구간 분석 등에 급등.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자회사 러셀로보틱스의 폭발적 성장으로 재평가 구간에 진입했다고 밝힘. 러셀로보틱스는 자체 개발한 무인화 로봇(AGV) SW(ACS, AGV Control System)에 대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CJ그룹 지분투자를 받았고, SK하이닉스, 현대차, CJ 등 주 고객 향 누적 300대 이상 국내 최다 납품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이들 대상으로만 올해 연초 기준 150억원의 수주잔고를 보유 중인데, 유럽 및 아시아 신규 고객 향 수주가 올해 지속 추가될 계획이며, 대당 20% 이상 GPM을 지속 유지할 전망. 이에 따른 2020~2022년 실적은 매출액 53억원 -> 101억원(+89.7% YoY) -> 204억원(+102.8% YoY), 영업이익 -5억원 -> 8억원(흑자전환 YoY) -> 21억원(+162.9%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또한, 동사의 지난해 매출액은 597억원(+73.3% YoY), 영업이익은 60억원(+120.2% YoY), 올해 매출액은 792억원(+32.5%YoY), 영업이익은 84억원(+40.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는 SK하이닉스 향 안정적인 리퍼비시 영업 위에 로봇이라는 신성 장동력을 탑재했다고 밝힘.
▷한편, 언론을 통해 자회사인 러셀로보틱스가 지게차 및 물류기기 제조업체 클라크(CLARK)와 스마트물류 솔루션을 위한 무인지게차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더블유케이(258610) : 145.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 속 신사업 진출 기대감에 급등.
▷전일 145.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 공시. 기존 납입자인 스카이블루얼라이언스(최대주주의 특별관계자)에서 홈캐스트로 변경에 따른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정공시.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금융, 솔루션, 서비스를 포괄하는 신항공사업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다"며 "향후 항공기 개조, 부품, 리스 사업 등 항공기 관련사업 뿐 아니라 UTM 등 연관 사업까지 확장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힘.

에코프로/에코프로에이치엔 : 에코프로비엠, 내부자거래 수사 인정 속 강세.
▷전일 에코프로비엠의 핵심 임원들이 주식 내부자 거래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는 소식 속 에코프로 그룹주가 급락세를 보인 가운데, 전일 에코프로비엠은 홈페이지를 통해 에코프로 및 계열사들의 일부 임직원들이 에코프로비엠 주식에 대한 미공개 중요정보를 이용한 내부자거래 혐의로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힘. 다만, 해당 내부자거래 혐의는 조사 대상인 임직원 개개인의 개인적으로 주식 거래를 한 것이 문제되는 것이고, 회사에 재산상 손실을 가져오거나 초래하는 행위는 아니라고 밝힘.
▷이러한 소식 속 에코프로, 에코프로에이치엔 등 에코프로 그룹주가 상승세를 기록.
[종목] : 에코프로, 에코프로에이치엔

와이팜(332570) : 100억원 규모 교환사채권 발행 및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신탁 등 대상 1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59,500원, 교환청구일:2022-02-04 ~ 2024-12-28) 공시. 교환대상은 발행회사가 보유한 테스나 기명식 보통주 16만8,067주임.
▷보통주 1,953,125주(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2-01-28~2022-04-27) 공시.

티라유텍(322180) : 비스텔리젼스와 스마트 제조 엔지니어링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용 인공지능(AI) 컨설팅 및 예지 보전 솔루션 전문 기업 비스텔리젼스와 스마트 제조 공급 확산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동사의 스마트 제조 솔루션 기술력을 바스텔리젼스의 예지 보전 기술 기반 솔루션과 생산 관리 시스템 기술에 연계, 제조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 제조 솔루션 확산을 지원할 예정임.

엘컴텍(037950) : 골드만삭스, 금 가격 반등 전망에 상승.
▷골드만삭스는 전일(현지시간) "올해는 인플레이션 헷징을 위한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금값이 크게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 골드만삭스는 금 가격 12개월 전망치를 2,000달러에서 2,150달러로 높였으며, 올해 12월 만기인 장기 금선물 거래를 추천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몽골 자회사 AGM MINING CO.,LTD를 통해 금/구리/아연 자원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디지캡(197140)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286.31억원(전년대비 -13.0%), 영업이익 3.62억원(전년대비 -84.0%), 순이익 2.29억원(전년대비 -83.0%).

엔시스(333620) : 120억원 규모 사모 CB발행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하이 와이지 윈윈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등 대상 12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3,000원, 전환청구일:2023-01-28 ~ 2026-12-28) 공시.

클래시스(214150) : 베인캐피탈과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속 하락.
▷최대주주 정성재 외 3인이 BCPE Centur Investments, LP에 보유주식 39,407,057주를 6,699.19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공시.
▷언론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경영권 인수 후 글로벌 경험과 역량을 갖춘 전문경영인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며, 기존 정 대표는 일부 지분을 남겨 우호 주주로 남을 예정이라고 알려짐. 업계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동사의 해외 시장에서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결정한 것"이라며 "동사의 기술력에 베인캐피탈의 글로벌 네트워크 역량이 더해져 수출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힘.

RFHIC(218410) : 일회성 비용에 따른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부진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05.21억원(전년동기대비 +20.01%), 영업이익 14.93억원(전년동기대비 -16.12%).
▷이와 관련,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고 언급. 이는 일회성 비용인 자회사 RF시스템즈 관련 충당금 약 20억원 때문으로 해당 비용을 제외할 경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한 양호한 실적으로 파악된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한편, 보통주 1주당 150원(시가배당율0.4%)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웹젠(069080) : 지난해 4분기 실적 시장 컨센서스 하회 전망 및 신작 모멘텀 불확실성 등에 약세.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각각 702억원(qoq +6%), 179억원(qoq +9%)으로 전분기 대비 다소 개선되나, 시장 컨센서스 전망치에는 미달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텐센트가 중국시장에서 퍼블리싱한 '전민기적2 중국'의 한국 버전인 '뮤오리진3 한국'은 중국시장 론칭 전 빅히트 기대감이 컸었으나, 론칭 후 결과는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는 점을 감안할 시 신작 모멘텀 활용방식에 대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고 분석. 한편, '뮤오리진3 한국'은 1Q22 론칭 예정이라고 밝힘.
▷또한, 한국시장의 경우 '오딘', '리니지 W' 등 슈퍼히트 MMORPG 의 연이은 등장으로 여타 대형 MMORPG들의 매출 영향이 크게 발생하는 등 시장상황이 타이트해졌다는 점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이어 자체 개발중인 5종 이상의 신작들의 경우, 일부 신작에 대한 첫 론칭 목표일정이 2H22부터 가동된다는 점에서 아직은 모멘텀으로 작용하기는 이른 시점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2,000원 -> 29,000원[하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