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징종목
- 코스피 시장 -
태영건설(009410) : 워크아웃 신청 검토 루머 속 약세
▷언론에 따르면, 동사 법무팀이 유동성 위기로 워크아웃 신청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던 것으로 전해짐. 일각에서는 워크아웃을 건너 뛰고 법정관리(회생절차)에 들어간다는 이야기도 나온 것으로 알려짐.
▷다만, 이에 대해 동사의 관계자는 "워크아웃 신청 검토는 사실무근"이라며 "올해 2분기와 3분기에 실적도 잘 나와 유동성이 충분하다"고 밝힘. 아울러 태영그룹 지주회사인 티와이홀딩스측도 “PF 정리와 관련된 금융위원장의 발언 때문에 태영건설이 회생 신청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추측성 루머가 돌고 있는 것 같으나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한편, 이 같은 루머 속에 계열사인 SBS의 매각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는 모습.
JW중외제약(001060) : STAT3 표적 항암제 'JW2286' 임상 1상 IND 신청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JW2286'의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밝힘. 이번 임상은 서울대학병원에서 60여 명의 건강한 한국인 및 코카시안 성인을 대상으로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JW2286은 STAT3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새로운 기전의 혁신신약 후보 물질로, 경구제로 개발하고 있으며 삼중음성 유방암, 위암, 직결장암 등 고형암이 적응증임.
NHN(181710) : 종속회사 NHN페이코, B2B 복지 솔루션 연 거래액 전년 대비 50% 증가 소식 속 상승
▷동사의 종속회사 NHN페이코는 언론을 통해 B2B 복지 솔루션 사업이 올해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연 거래액이 전년대비 50% 증가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페이코 기업복지 솔루션의 올해 거래액은 2022년 전체 거래액 대비 약 50% 상승한 1,700억원을 최근 달성했으며, 현재 1,900여개 기업에서 약 18만명의 직장인들이 페이코를 활용한 복지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국앤컴퍼니(000240) : 조양래 명예회장, 경영권 방어 시사 속 소폭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조양래 명예회장이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공개매수에 대응해 사재를 투입해서라도 경영권을 지키겠다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짐. 이는 개인 자금으로 동사 주식을 사들여 차남 조현범 회장 지분(42.03%)을 포함해 과반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로 알려짐.
▷한편, MBK는 조 명예회장의 장남 조현식 동사 고문(18.93%), 차녀 조희원 씨(10.61%)와 손잡고 동사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공개매수를 진행 중으로, 오는 24일까지 주당 2만원에 동사 지분을 최소 20.35% 이상 공개매수한다는 계획임.
HD현대일렉트릭(267260) : 1,173억원 규모 중저압차단기 스마트팩토리 투자 결정에 소폭 상승
▷자동화를 통한 제조경쟁력 강화로 시장점유율 확대 목적으로 1,173.00억원(자기자본대비 14.11%) 규모 신규시설(중저압차단기 스마트팩토리) 투자 결정(투자기간:2023-12-13~2025-10-31) 공시.
- 코스닥 시장 -
블루엠텍(43958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9,000원을 상회한 55,3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의약품 유통, 판매업체로 전문의약품을 e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것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 '블루팜코리아(BluePharmKorea)’, 약국을 대상으로 한 '쿨팜(KoolPharm)’ 등 2개의 의약품 유통플랫폼을 운영중. 두 플랫폼을 운영하고 고도화하는 IT서비스 지원에 더해, 제약사, 의료기관용 서비스, 웹사이트개발 업무를 진행하는 '블루랩스(BlueLabs)’도 운영 중.
오로스테크놀로지(322310) : 국내 유일 Overlay 계측 기술 보유로 적용처 확대에 따른 성장성 부각 전망 등에 급등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비메모리 및 메모리반도체 차세대 공정 기술에서 Wafer Bonding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Overlay 계측 시장의 적용처가 확대되며 높은 성장성이 재차 부각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는 국내 유일 Overlay 계측 기술을 보유한 회사로, 이에 따른 수혜가 집중될 것으로 분석.
▷아울러 2024년/2025년 각각 연간 예상 영업이익은 123억원(OPM 19%, YoY +1,827%), 301억원(OPM 28%, YoY +145%)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이는 Overlay 장비 라인업 다변화 본격화, 국내 H사를 포함한 메모리반도체 선단공정 중심의 전공정 투자 회복 및 해외(중국/일본) 고객 다변화, Wafer Thickness 양산 장비 납품 개시가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한편, 2023년 연간 예상 매출액은 417억원(YoY +17%), 영업이익 6억원(OPM 2%, YoY 흑자전환)으로 추정. 이는 국내 H사향 Capex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국 반도체 고객향 장비수요 증가, 국내 S사향 HBM용 Warpage 포함 PKG 장비 등에 기인한다고 밝힘.
케이티알파(036030) : 삼성TV플러스 내 영화 콘텐츠 제공 소식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삼성 TV 플러스 '영화 전용관'에 150여편의 영화 콘텐츠를 제공한다고 밝힘. 이에 따라 삼성 TV 플러스 이용자들은 방송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영화를 장르별, 테마별로 선택해 시청할 수 있게 됐음.
▷이번 협약으로 연말 및 크리스마스 시즌에 '찰스 디킨스의 비밀 서재' '노엘의 선물' '패딩턴2' 등 가족과 함께 볼 수 있는 영화들이 다양하게 제공되며, 이외에도 '폴:600미터' '마루이 비디오' '대무가' 등 최신 작품도 제공될 예정.
▷지준수 콘텐츠사업본부장은 "영화를 무료로 볼 수 있는 점은 기존에 선보였던 FAST 채널과 동일하지만, 영화 전용관에서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 원하는 영화를 시청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내년 상반기에는 1,000편 이상으로 영화 콘텐츠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힘.
메디콕스(054180) : 이오셀과 베터리셀 JV 설립 추진 소식에 강세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미국 배터리셀 회사 이오셀(EOCELL)과 체결한 ‘배터리셀 합작법인(JV) 설립을 위한 MOU’와 ‘엔지니어링 서비스 계약’이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GX)에 공시됐다고 밝힘. 이번 공시는 이오셀 공동 최대주주인 싱가포르 상장법인 반도체?전자부품 제조업체 드래곤그룹 인터내셔널(Dragon Group International)이 진행한 것이라고 언급. 양사는 한국 내 배터리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고객 맞춤형 배터리셀 제조 및 설계?플랜트 구축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고 설명.
▷이와 관련, 현경석 동사 대표이사는 “글로벌 배터리셀 회사인 이오셀과의 한국 내 배터리셀 합작법인 설립에 관해서 공동 최대주주인 드래곤그룹 인터내셔널 역시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향후 맞춤형 배터리셀 사업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이오셀 주요주주들의 지원도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싸이토젠(217330) : 日 국립암센터와 정밀의료진단사업 진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일본 국립암센터(National Cancer Center Hospital, NCCH)와 정밀의료진단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이는 췌장암, 담도암, 폐암, 대장암 등의 암환자의 혈액에서 CTC를 분리해 암 유발인자인 KRAS의 변이를 확인하는 사업이며, 이번 사업은 해외의 병원 및 기관으로부터 국내로 혈액을 공급받아 CTC를 분리 후 분석하는 첫 사업으로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암환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것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동사는 글로벌 임상 현장의 환자 혈액 샘플 분석을 위한 Central LAB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관련 동사는 “콜드체인을 통한 CTC 분리·분석과 액체생검 분자진단 서비스의 초석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아주 큰 사업”이라고 설명.
아미코젠(092040) : 자회사 퓨리오젠, 에스티팜과 '레진 상용화' 업무협약 체결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정제용 레진 자회사인 퓨리오젠과 올리고 CDMO 분야 글로벌 기업인 에스티팜이 레진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퓨리오젠은 자체 생산한 레진을 에스티팜에 공급하고, 에스티팜은 퓨리오젠의 레진을 공급받아 유전자치료제 및 mRNA치료제의 CDMO 및 신약 개발에 적용하여 공정 효율성과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할 예정.
▷박철 동사 대표이사는 "그동안 당사의 자회사인 퓨리오젠을 통해 레진의 국산화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고객사들과 수많은 테스트를 진행해 왔으며, 이번에 에스티팜과 레진 공급 협력을 체결하여 매우 기쁘다"라며, "당사는 이번에 체결한 에스티팜과의 MOU를 시작으로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에게 레진을 공급하여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나아가 국내 바이오 산업의 자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6,940원임.
메쎄이상(408920) : 견조한 실적 성장세 분석 등에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시회 종합 플랫폼 솔루션 보유 기업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잠시 성장성을 주춤하게 만든 것이 사실이지만, 코로나19 기간을 제외하면 해마다 꾸준히 우상향하는 실적을 기록중이라고 밝힘.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억눌렸던 전시 수요가 회복함과 동시에 국내 전시컨벤션센터 인프라 공급이 확대되면서 성장 속도는 조금 더 빨라지는 양상이라고 설명.
▷이에 올해 연간 400억원 이상의 매출액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인도 IICC 운영효과가 더해지며, 또 한 번의 실적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에스넷(038680) : 4분기 호실적 전망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긍정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간 가운데, 4분기 호실적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는 4분기에 공공사업 대형 프로젝트 및 기존 고객 대상으로 대규모 수주가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유홍준 대표는 “에스넷시스템은 클라우드, AI 등 신사업 강화 및 미국법인 등에 선제 투자를 통해 성과가 가시화 되고 있으며, 실적 향상에 기여함에 따라 앞으로 지속 성장을 통해 주주들과 동반성장을 하겠다”고 밝힘.
▷한편, 전일 보통주 1주당 120원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3-12-31) 공시.
퓨쳐켐(220100) : 올해 국가신약개발사업 10대 과제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립선암 치료 방사성의약품인 FC705가 '2023 국가신약개발사업 10대 우수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힘.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의 필수 조건인 의약주권 확보를 위해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FC705의 국가신약개발 10대 우수과제 선정은 FC705의 약물 우수성과 향후 밝은 전망 등이 입증된 것”이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우수 과제로 선정된 FC705의 성공적인 신약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디와이피엔에프(104460) : 삼박엘에프티와 1,56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속 수주잔고 6,200억원 돌파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삼박엘에프티 주식회사와 1,56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7.91%) 규모 공급계약(STEP-1 PROJECT) 체결(계약기간:2023-12-13~2026-06-04)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삼박엘에프티는 롯데케미칼의 자회사로 기능성 첨단소재를 주로 생산한다며, 이번 수주로 6,200억원이 넘는 역대 최대 수주잔고를 달성했다고 밝힘. 이어 고객사들로부터 우수한 설계 및 공급 능력을 인정받아 최근 대형 수주계약을 잇달아 따내고 있다며, 내년 예상되는 카타르, 쿠웨이트, 사우디 등 글로벌 초대형 프로젝트에서도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주해 성장세를 이어가겠다고 언급.
에스엠(041510) : 저점 가능성 분석 등에 소폭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에 최선호주로 제시했던 이유는, 가파른 증익 싸이클에 더해 올해 주총에서 지배 구조 관련 이슈가 사실상 예정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차기 년도 예상 P/E 기준 17배 내외에서 오랫동안 횡보해 가격 매력이 너무 높았기 때문이며, 과거 동방신기 군입대와 한한령이 겹쳤던 구간에서도 비슷한 밸류에이션에서 저점을 잡았는데, 현재는 이보다 더 싸게 거래 중이라고 밝힘.
▷또한, 아직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이슈가 남아 있어 저점이 아닐 수는 있지만, 관련 이슈가 마무리 된다면 쉽게 보기 힘든 가격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고 밝힘. 다만, 목표주가는 실적 및 밸류에이션 하향 조정으로 하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5,000원 -> 135,000원[하향]
아이씨에이치(368600) : MFA 삼성전자 스마트폰향 재진입 효과로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이익 부진을 끝내고, 4Q23을 기점으로 물량과 이익의 변곡점이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힘. 이는 MFA(필름형 박막 안테나)의 삼성전자 스마트폰향 재진입 효과가 반등의 트리거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내년 삼성전자 중저가 신제품 위주로 재진입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기존 LDS(Laser Direct Structuring) 안테나 대비 가격 측면에서 이점이 존재하고, 이는 스마트폰 스펙 업그레이드 속 부각되는 고객사의 재료비 절감 니즈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경쟁 우위 요소라고 설명. 이어 A, M시리즈 내 적용 제품을 다각화하며, 물량 확대를 이룩할 것으로 전망.
뉴로메카(348340) : SK네트웍스서비스와 로봇 공급 총판 계약 체결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SK네트웍스서비스와 로봇 공급 총판 계약을 지난 12일 체결했다고 밝힘. 글로벌 노동 환경과 제조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양사는 이번 체결을 통해 상호 시너지 창출에 나설 방침.
▷동사는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협동로봇, 산업용로봇, 자율이동로봇 등 로봇 및 로봇 핵심 구성요소 제품을 개발하고, SK네트웍스서비스의 오랜 IT 장비 유통 경험과 축적된 역량을 기반으로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외 협동로봇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고 설명.
▷박종훈 대표는 "최고의 서비스, 솔루션 기업인 SK네트웍스서비스와의 협력으로 로봇 자동화 생태계 구축에 있어 동사의 리더십을 공고히 하는 주요한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양사의 협업은 동사가 보유한 제조 및 서비스 공정의 로봇 자동화 솔루션의 마케팅, 영업, 고객 만족에서 의미 있는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힘.
넥스트아이(137940) : 공시불이행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불이행(소송등의판결ㆍ결정(일정금액 이상의 청구) 지연공시)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4-01-08) 공시.
이오플로우(294090) : 최대주주 보유 지분 감소 속 급락
▷최대주주 김재진 대표이사는 임원ㆍ주요주주(최대주주 김재진)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전자공시를 통해 보유 주식 2,000,000주(6.57%)를 장내매도했다고 밝힘. 이에 김재진 대표이사의 주식수는 4,976,583주(16.36%)에서 2,976,583주(9.79%)로 감소.
현대바이오(048410) : 코로나19 치료제 '제프티' 긴급사용승인 지연에 따른 해명 속 급락
▷동사는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제프티 긴급사용승인에 대한 주주들의 질문에 대해 답변했음. 이와 관련, '긴급사용승인을 위한 안전성·유효성에 대한 사전 검토'를 임상종료 후 9개월 동안 받지 못한 이유에 대해 식약처가 외국산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서는 질병청의 긴급사용승인 요청 전에도 안전성·유효성 사전 검토를 하였음에도 제프티의 경우 "질병청이 긴급사용승인 요청을 하기 전에는 안전성·유효성에 대한 사전 검토를 할 수 없다"며, 제프티에 대한 '긴급사용승인을 위한 언전성·유효성에 대한 사전 검토'를 해주지 않고 있다고 밝힘. 이는 합리적 이유 없이 국산 코로나19 치료제를 외국산 코로나19 치료제와 차별하는 것이자, 국산 의료제품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특별법의 취지에 반한다고 언급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