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증시 분석

디지털화폐, 백신, 니켈, 영상컨텐츠, 원자력발전 등 테마 관련 3.8일 국내증시 주요 이슈 및 전망, 수혜주 분석

반응형





- 테마 시황 -

▷美 바이든 대통령 행정명령에 디지털 화폐(CBDC) 발행 관련 내용 포함 가능성 등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3상 개시 소식에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테마 상승.

▷니켈 가격 폭등 수혜 기대감 등에 니켈 관련주 강세.

▷한국드라마 3편 중국에서 잇따라 방영 소식에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일론 머스크, 유럽 원전 재가동 관련 트위터 발언 및 文대통령 원전 기저전원 발언, 윤석열 대선 후보 탈원전 폐기 공약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이 외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제약업체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반면,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급락 등에 전기차/2차전지 테마 하락.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급락 및 수요 부진 우려 등에 반도체 관련주 하락.

▷국제유가 급등 및 환율 상승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 여행 테마 하락.

▷국제유가 급등 등으로 최근 시장에서 부각됐던 LPG, 정유 등 에너지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사료, 수산, 자원개발, 철강 주요종목, 건설기계, 종합상사, 국내 상장 중국기업, 마켓컬리 관련주, 비료, 해운, 풍력에너지 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

美 바이든 대통령 행정명령에 디지털 화폐(CBDC) 발행 관련 내용 포함 가능성 등에 상승.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정부의 가상화폐 계획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할 계획이며, 이번 행정명령에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발행과 관련된 내용도 담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짐. 이번 행정명령을 통해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화폐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입장이 더욱 명확해질 전망.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1월 발표한 가상화폐 보고서에서 "CBDC가 달러 지배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CBDC가 소비자들의 결제 옵션 다양화, 국가 간 송금 속도 향상, 개인 프라이버시 강하 등에 용이하다"고 밝힌 바 있음. 다만 "CBDC의 장점이 분명한 만큼 금융 사기나 디지털 범죄에 휘말릴 가능성도 크다"면서 "CBDC 발행은 아직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케이씨티, 로지시스, 케이씨에스, 한네트 등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가 상승.


-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3상 개시 소식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임상시험 전담 생활치료센터에서 일동제약과 신풍제약이 각각 개발 중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임상 3상 참여자 등록이 시작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 임상시험용 의약품은 일동제약이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공동으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 'S-217622'와 신풍제약의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정'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신풍제약이 급등했고, 한국파마, 국전약품, 셀트리온, 레고켐바이오 등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테마가 상승.


- 니켈 관련주 -

니켈 가격 폭등 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

▷美 의회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 등에 전일(현지시간) 국제 유가가 급등한 가운데, 니켈 가격이 폭등세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전일(현지시간)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니켈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62% 폭등한 4만6,850달러를 기록해 15년래 최고치를 기록.

▷이 같은 소식에 니켈가격 상승이 스테인리스 판가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 속 스테인리스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유에스티, 티플랙스, 황금에스티, 세아특수강 등이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아울러 암바토비 니켈광 개발 프로젝트에 한국광물자원공사 등과 함께 한국암바토비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STX도 시장에서 부각.

▷한편, 신한금융투자는 티플랙스에 대해 지난해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기록했으며, 수요 증가 및 판가 인상에 따른 올해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올해 매출액 2,130억원(+12.4% YoY), 영업이익 186억원(+10.3%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영상콘텐츠 -

한국드라마 3편 중국에서 잇따라 방영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슬기로운 감빵생활', '또 오해영', '인현왕후의 남자' 등 CJ ENM이 제작한 드라마 3편이 이달 초 중국판 유튜브로 불리는 비리비리(Bilibili)에서 방영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짐. 특히, 슬기로운 감빵생활은 방영 이틀 만에 조회 수 200만 회를 넘어서면서 비리비리 드라마 인기 차트 1위를 기록했으며, 인현왕후의 남자 역시 8일 오전 11시 기준 조회 수 87만 회로 드라마 인기 차트 2위를 차지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인현왕후의 남자(2012년)와 또 오해영(2016년)은 지난 3일, 슬기로운 감빵생활(2017년)은 지난 6일 각각 첫 방영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스튜디오드래곤, 팬엔터테인먼트, 초록뱀미디어 등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


- 전기차/2차전지 -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급락 등에 하락.

▷현지시간 7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고조, 유가 급등 속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부각 등에 뉴욕증시가 급락세를 보인 가운데, 뉴욕증시 내 테슬라(-4.02%), 리비안(-10.47%) 등 전기차 업체들의 주가도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2차전지 핵심 원재료인 알루미늄, 니켈, 리튬, 코발트 등의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2차전지 제조원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부각.

▷이러한 소식에 나라엠앤디, 솔루스첨단소재, 엘아이에스, 나인테크, 에코프로비엠, 삼성SDI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 반도체 관련주 -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급락 및 수요 부진 우려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고조, 유가 급등 속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등에 급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9.99(-4.91%) 하락한 3,098.93을 기록. 퀄컴(-7.49%), 엔비디아(-6.91%), TSMC(-5.49%), AMD(-5.04%), ASML(-3.36%) 등이 하락.

▷신영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대표적인 경기 민감주인 반도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인상 불확실성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충돌 이슈 등 대외 변수로 주가 조정을 받고 있다고 분석. 또한, 3월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은 완화되었음에도 팬데믹 동안 IT 세트 판매가 강했던 만큼 시장에서는 여전히 수요에 대한 의구심이 남아있다고 밝힘. 언택트에서 컨택트로의 전환 과정에서 IT 수요의 급감과 팬데믹을 경험하며 부품 재고 축적을 진행한 세트사들의 향후 오더컷 가능성 등이 불안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분석.

▷아울러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면전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이 지속되며 전반적인 경제 재개가 지연돼 글로벌 Tech 수요 급감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주성엔지니어링, 원익머트리얼즈, 후성, 에이티세미콘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삼성전자는 장중 7만원선이 붕괴되는 등 부진한 흐름을 보이다 전일 대비 0.86% 내린 69,500원에서 거래를 마감했고, SK하이닉스도 1.26% 하락 마감.


- 항공/여행 -

국제유가 급등 및 환율 상승 등에 하락.

▷지난밤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검토 소식 등에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3.72달러(+3.22%) 상승한 119.40달러에 거래 마감. 이와 관련, 토니 블링컨 美 국무장관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 방안으로 러시아산 석유 수입 금지를 유럽 동맹국들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으며, 낸시 펠로시 미 하원 의장도 하원이 러시아를 국제 경제로부터 고립시키기 위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전일 원/달러 환율이 전거래일 대비 약 13원 급등한 1,227.10원에 마감한 데 이어, 금일도 안전자산 선호 심리 등에 10원 가까이 급등하면서 1,237.0원에서 거래를 마감. 이에 항공기 리스료와 항공유 등을 달러로 결제하는 항공사들의 특성상 원가 부담에 따른 실적 둔화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고 있음.

▷이와 관련,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하락했고, 모두투어, 노랑풍선, 참좋은여행, 하나투어 등 여행 테마도 하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