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 분석

2분기 실적 기대주, 금일 증권사 목표가 변경 종목, 증권사 추천주 등 주식 초보자도 이해되는 7/7일 특징종목과 이슈

글라라1 2022. 7. 7. 17:33
반응형




- 코스피시장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멕시코 외무장관과 백신협력 논의 소식 등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전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외무장관을 만났으며, 멕시코와의 세부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짐. 최 회장과 함께 자리한 동사의 안재용 사장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동사는 정식 승인을 받은 이후 세계 백신 공유 프로그램인 코백스를 통해 백신을 공급할 예정"이라며, "바이오 인프라구축과 백신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만큼 멕시코가 관심을 가질 경우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에브라르도 장관도 "멕시코 역시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백신 제조 인프라와 기술력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자"고 화답했음.
▷한편,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2만명 대에 접근하는 등 재확산 우려 등에 코로나19 관련주들이 상승한 점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국동(005320) : 셀트로이, 동사와 공동연구로 조직특이적 약물전달시스템 관련 3종 특허 출원 소식에 강세.
▷쎌트로이는 언론을 통해 관계사인 동사와 함께 공동연구를 통해 올해 세포투과성 펩타이드(CPP)에 대한 3건의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힘. '양친매성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양이온성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는 국내 및 국제(PCT) 특허를 출원했고, '염증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작동하는 융합단백질'은 국내 특허를 출원했음.
▷이와 관련 쎌트로이 대표는 "각종 치료제는 물론 미용, 진단, 백신, 유전자·단백질 치료법 개발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특허를 활용해 국동과 신약 개발 및 파이프라인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힘.

종근당(18575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 3,622억원(전년동기대비 +16.6%, 전분기대비 +7.2%), 영업이익 277억원(전년동기대비 -17.7%, 전분기대비 +13.8%)을 기록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팬데믹으로 부진했던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의 매출 성장과 케이켑과 프롤리아 등 도입품목 매출 고성장이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다만, R&D 파이프라인을 위한 투자가 이어지고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대면 영업 본격화로 마케팅 비용 등 판관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내원 환자 수 증가로 ETC 매출이 성장하며 올해 매출액 1.5조원(전년대비 +9.4%), 영업이익 1,059억원(전년대비 +12.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0,000원[유지]

F&F(383220) : 3분기 중국 사업 회복에 따른 수익성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중국 사업 본격적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힘. 6월부터 중국 영업이 정상화됨에 따라 대부분 매장의 영업이 정상화됐고 기존점 매출도 증가세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특히, 락다운 상황에서도 중국 점포수는 1분기 561개에서 2분기 670개로 증가했으며, 하반기에는 영업 정상화에 따라 연간 목표 800개 달성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전망.
▷현재 12MF PER은 10배로 국내 의류 평균 수준까지 하락했고, 중국 사업 회복이 목전에 있어 매수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힘. 3분기 중국 사업 회복이 견인하는 수익성 개선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
▷한편,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430억원(전년동기대비 +10%), 840억원(전년동기대비 +12%)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수익성 높은 면세와 중국 사업 부진 영향 때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유지]

한국콜마(161890) : 2분기 호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312억원(+46%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국내 주요 고객사들의 주문 증가, 자회사 이노엔의 실적 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올 하반기는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3분기 이후 중국 법인과 북미 법인의 회복세가 전망되고, 자회사 이노엔도 케이켑과 HB&B 사업 호조로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또한, 하반기부터 연우가 연결 실적에 추가 인식된다면, 그 영향으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8,000원[유지]

LG전자(066570) :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액 기록에 상승.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9.47조원(전년동기대비 +14.99%), 영업이익 7,917.00억원(전년동기대비 -12.04%). 2분기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올해 1분기(21조1,114억원)보다 낮지만 2분기 기준 역대 최대였던 전년동기(17조1,139억원)보다 높은 수치임.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 2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전망 및 멕시코 공장 착공 소식 등에 소폭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24.3% 증가한 10.6조원,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62.2% 증가한 2,758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미얀마 가스전 투자비 회수비율 회복, 철강 트레이딩 실적 개선, Senex Energy 연결 실적 인식 등이 증익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유지]
▷아울러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현지시간으로 6일 멕시코 코아우일라주(州) 라모스 아리스페(Ramos Arizpe)에서 멕시코 구동모터코아 생산공장 착공식을 가졌다고 밝힘. 동사는 향후 2030년까지 멕시코 공장에 약 1,600억원을 투자해 연 150만대 생산체제를 갖추고 북미시장 수요에 대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오리온(271560) : 대표 비스킷 제품 6월 매출 급증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달 대표 비스킷 제품인 초코칩쿠키/고소미/촉촉한초코칩의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크게 증가했다고 밝힘. 초코칩쿠키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2%, 고소미는 30%, 촉촉한초코칩은 26% 증가했으며, 이는 홈카페 문화 확산으로 비스킷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제품들이 가성비가 높아 소비자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한편, 동사는 지난 2013년부터 9년간 제품 가격을 인상하지 않고 있어 다른 제과업체들이 지난해와 올해 주요 제품 가격을 인상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다만, 원부자재 가격 상승, 에너지 비용 증가로 동사도 올해 하반기에는 가격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한섬(02000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3,587억원(+14.7%YoY, -8.4%QoQ), 영업이익은 269억원(+14.5%YoY, -54.5%QoQ)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화장품 등 신사업 비용 집행에도 불구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 모두 고른 성장이 지속되며 양호한 이익을 보일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한편, 최근 내수 의류 브랜드 업체, 매크로 이슈 및 아웃바운드 증가에 따른 장기 내수 소비 둔화 우려 등으로 목표주가를 하향하나, 현 주가 수준은 밸류에이션 Multiple 22F P/E multiple 5.8x 수준으로 소비 둔화 우려 감안하더라도 저평가, 투자 매력도 확대 구간이라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0,000원 -> 55,000원[하향]

삼성전기(009150) : IT 세트 수요 부진에도 올해 역대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IT Set 수요 부진을 반영해 하반기 실적을 보수적으로 조정하더라도 올해 역대 최대 실적 기조에는 변함이 없어 보인다고 밝힘. 하반기에 FC-BGA를 앞세운 패키지기판의 질적 도약이 가속화될 것이고, 카메라모듈은 자율주행 분야 수주 성과가 뒷받침되며, MLCC도 산업용과 전장용 수요가 견조한 상태라고 분석. 이어 절대적으로 우호적인 환율 여건이 Set 출하량 감소 영향을 상쇄해 줄 것이며, 이에 비해 6개월 선행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은 9.0배, 주가순자산비율은 1.26배로 밸류에이션 지표는 역대 최저 수준이라고 설명.
▷동사 주가가 상승 전환하기 위해서는 MLCC 매출의 50%를 차지하는 중국 모바일 수요가 개선돼야 한다고 밝힘. 현재 중국 스마트폰 시장 침체와 공급난 등으로 고객사 재고조정이 장기화되고 있지만, 미국 정부가 대중 관세를 인하할 경우 중국산 IT 소비재 출하가 증가하고 MLCC 수요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고 밝힘. 또한, 패키지기판은 3분기부터 서버용 FC-BGA의 시양산을 시작하고, Apple M2 프로세서용 기판을 주도적으로 공급할 것이라며, 완전 가동 상태를 유지하며 생산능력 증설 효과가 더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40,000원[유지]



- 코스닥시장 -

신진에스엠(138070) : 김대용/나윤경, 경영권 확보 및 행사 목적 동사 주식 취득 소식 속 상한가.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를 통해 김대용/나윤경이 동사 지분 12.09%(1,085,248주)를 신규 취득했다고 밝힘. 보유목적은 회사의 경영권 확보 및 행사로, 무상증자 및 주식 거래 활성화 위한 기타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함이라고 밝힘.

보광산업/홈센타홀딩스/화성산업 :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총사업비 규모 2배 이상 확대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총사업비 규모가 기존안(12조2,000억원)보다 배 이상 늘어난 26조4,000억원 규모로 커졌다고 전해짐. 변경된 법률안으로는 군 공항과 민간 공항 건설에 각각 10조8,000억원과 1조4,0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으며, 공항도시(3조6,000억원), 공항산업단지(1조5,000억원), 접근교통 인프라(9조1,000억원) 구축 등에도 조 단위 돈이 들어갈 것으로 전해짐.
▷민간 공항 활주로 길이도 기존안 3.2km에서 홍 시장이 슬로건으로 내세운 '중남부권 관문공항' 역할 수행에 필요한 3.8㎞ 규모로 늘어난다고 알려짐.홍준표 대구 시장이 사실상 주도하고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들이 발의를 추진하는 특별법 안에는 이런 내용이 담길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대구/경북지역 기반 골재생산 업체인 보광산업, 대구/경북지역 기반 건축자재 도소매업체인 홈센타홀딩스, 대구/경북 기반 토목건설업체인 화성산업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 화성산업, 홈센타홀딩스, 보광산업

서울바이오시스(092190) : 바이오레즈 통해 러브버그 퇴치 효과 입증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출몰하는 러브버그 자체 포획 실험에서 광반도체 단파장 기술 '바이오레즈(Violeds)'로 퇴치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힘. '바이오레즈' 기술은 자외선(UV)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해 모기, 초파리 등을 유인해 포집하는 포충 기술로, 동사는 모기가 좋아하는 파장과 밝기, 설계구조 등 최적의 포충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으며 실험은 모기뿐만 아니라 러브버그 퇴치에도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행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엄훈식 동사 UV사업부 수석연구원은 "유한양행, 렌토킬 등 국내외 세계적 기업들이 '바이오레즈' 기술을 채택 양산하고 있다"며, "모기약과 같은 살충제를 이용한 방역은 인체에 해롭고, 사체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위생에 좋지 않아 어린이가 있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과 같은 위생 상업 시설에서는 '바이오레즈' 기술이 적용된 포충 시설을 구비하는 것이 벌레 퇴치를 위한 최적의 방법"이라고 밝힘.

씨케이에이치(900120) : 109.11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강세.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JIANG MAN 등 대상 37,888,166주(109.11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88원, 상장예정:-) 공시.

플래티어(367000) :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등에 강세.
▷전일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2년 매출액 511억원(YoY, +22.2%), 영업이익 58억원(YoY, +39.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매년 이익률이 높아지는 구조적 성장이 가능하다고 분석.
▷특히, 개인화 마케팅 플랫폼 ‘그루비’와 D2C플랫폼 X2BEE의 구축 완료가 올해 3~4건이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23년부터 솔루션 라이선스 매출이 발생함에 따라 이익률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대형사의 구축보다 인원/시간 투입 비중이 적은 신규 솔루션들의 비중이 높을 수록 이익률이 상승하는 구조로 현재 대기업들의 플랫폼 구축 수주가 많지만 중견기업들의 수주가 확대될 23년 이후 빠른 성장 기대된다고 밝힘.

바이오플러스(099430) : DVS필러 향후 게임체인저 분석 전망 등에 강세.
▷FS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개발 및 판매중인 DVS필러는 향후 필러는 물론 아이템 확장으로 업계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판단. 이는 DVS필러는 기존의 필러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안정성 측면을 크게 개선했고 효과도 더 뛰어나며 향후 3년간 기존 Capa의 20배에 가까운 증설을 통해 큰 폭의 실적 성장도 기대되고 있다고 설명. 또한, 이러한 성장을 뒷받침할 중장기적 성장 아이템도 여럿 확보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전세계 필러시장 중 가장 큰 중국시장의 본격 진출이 올해부터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임.
▷아울러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전년대비 60.4%, 64.8% 성장한 600억원, 3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여기에 중국판매 허가가 빠르게 진행된다면 하반기부터 추가 실적 성장도 전망되고 특히 올해는 작년에 하락했던 수익성도 점차 개선되어 2019년의 수익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넥스틴(348210)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92,081주(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2-07-07~2022-10-06) 공시.

덕산하이메탈(077360) : 206.19억원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상승.
▷전방 수요 증가에 따른 마이크로솔더볼 공장 및 생산설비 증설 목적으로 206.19억원(자기자본대비 7.57%) 규모 신규시설(신규 시설 투자) 투자 결정 공시.

큐라클(365270) :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식약처 2b상 IND 승인에 상승.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CU01-1001'의 식품의약품안전처 2b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공시. 이번 IND 승인으로 동사는 국내 20여개 기관에서 알부민뇨가 나타나는 제2형 당뇨병성신증 환자 240명을 대상으로 24주간 CU01-1001을 투여함에 따른 적절한 투여용량 탐색,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할 예정.

신신제약(002800) : 비엘 건기식 '면역88프로' 공동마케팅 협약 체결 소식 속 상승.
▷신약 전문업체 비엘은 언론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면역88프로'의 공동마케팅을 동사와 함께 진행한다고 밝힘. 그동안 비엘은 자사 온라인몰과 홈쇼핑,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면역88골드를 판매했으나, 이번 협약을 통해 주요 판매채널인 약국을 통한 매출 성장이 가능해질 것으로 알려짐.
▷한편, '면역88프로'는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한 면역기능 성분 폴리감마글루탐산칼륨(PGA-K)을 함유한 면역력 강화 건강기능식품이며 동일 성분 제품으로 지난해 1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바 있는 비엘의 주력 품목인 것으로 전해짐.

아이윈플러스(123010) : 웨어러블 기기용 체온 센서 패키지 개발 본격화 소식 속 상승.
▷하반기에 출시 예정인 애플워치8 등 스마트워치 신제품에 체온 센서가 탑재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초소형 온도 센서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음.
▷동사는 언론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용 체온 센서 패키지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밝힘. 동사는 국내 최초 진공 밀폐 기술을 적용해 기존 대기압 상태의 패키지 대비 감도 성능을 15~20%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동일한 센서 크기 대비 감도 성능 향상, 센서칩 및 패키지 크기 축소 등의 고성능 초박형 센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

에스티팜(237690) : 중장기 성장 잠재력 보유 분석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글로벌 제약사와의 신규 프로젝트가 연초부터 다수 확인되고 있다며, 아직 금액은 크지 않지만 mRNA CDMO 사업 영역의 수주가 확인되는 것을 볼 때 성장의 방향성은 명확하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는 올리고 설비 증설이 완료되는 시기로 증설 가동분에 대한 첫 실적 인식은 4분기로 예상되는 만큼, 온년으로 반영되는 2023년에 실적 성장의 폭이 클 것으로 전망. 증설 완료 이후 라인 증가를 통한 생산 효율성 확대와 다수 프로젝트 확보를 통한 레퍼런스 증가로 CDMO 기업에 필요한 경쟁력들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40,000원[유지]

골프존(215000) : 2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07-06~2023-01-05, SK증권) 공시.

큐브엔터(182360) : 블록체인 전문기업 네오핀과 업무 협약 체결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블록체인 전문기업 네오핀과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업무협약은 블록체인 분야의 기술 정보 교, 서비스 공동 협력, 비즈니스 공동 마케팅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으며, 향후 동사와 네오핀의 블록체인 생태계가 글로벌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수 있도록 사업 전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협력할 방침임.
▷동사 관계자는 "네오핀과의 협업을 통해 동사가 진행하고 있는 메타버스, 블록체인 생태계와 더불어 디파이 생태계 조성도 가능하게 됐다"며, "글로벌 오픈 메타버스 사업과 완성도 높은 블록체인 환경 조성에 있어 양사의 협업은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딥노이드(315640) : AI보안솔루션 기술인정 혁신제품 지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 X-ray 영상 위해물품 자동판독시스템을 한국공항공사와 공동개발해 기획재정부·조달청으로부터 기술은 물론 혁신성·공공성까지 인정받아 2022년도 혁신제품(패스트트랙3)에 지정됐다고 밝힘. 이에 조달청 전자조달시스템인 혁신장터에 등록돼 3년간 공공기관과 수의계약을 통해 공공조달에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최우식 대표는 "이번 혁신제품 지정을 통해 정부로부터 기술력과 혁신성을 공식 인정받는 동시에 AI 영상자동판독시스템이 공공기관에 도입되어 인적오류를 줄이고 AI를 통해 편리하게 보안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며, "공공기관은 물론 보안과 혁신적 기술이 검증된 대표 AI 보안시스템으로 해외진출도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모아데이타(288980) : 100억원 규모 CB발행 결정 등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기타자금 확보 목적으로 신한금융투자 주식회사 등 대상 1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8,750원, 전환청구일:2023-07-15 ~ 2027-06-15) 공시.
▷한편, 주가급등에 따라 투자경고종목 지정 공시.

코난테크놀로지(402030) : 신규상장 첫날 급락.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25,000원을 상회한 35,3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락세로 마감. 한편, 동사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로, 주요 기반기술을 기준으로 딥비전(Deep Vision), 딥스피치(Deep Speech), 딥텍스트애널리틱스(Deep Text Analytics), 딥컨버세이셔널에이전트(Deep Conversational Agent) 등 4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음.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